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qvqY/btrr2WQOTGE/BztnrdgVSxUJgDrzZoRcOk/img.png)
들어가는 말
최근 국내주식은 물론 미국주식까지 엄청난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.
고점대비 큰폭으로 하락을 하는 중이라 많은 분들이 이제야 버블이 터지는 시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.
하지만 저는 오히려 반대로 생각하고 있습니다.
현재의 시장은 조금 큰 조정장일뿐 버블붕괴 시점은 아니라 생각합니다.
오늘은 제가 무슨 근거로 이러한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
잠깐!! 이벤트 꼭 참여하고 가세요!!
꼭 이벤트 참여해서
무료 '미국ETF' 전자책 받아 가세요!!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eI562/btrr1ITfZCE/eh9UWYdNSTNVbYAFPZQrO1/img.png)
'2030 미국ETF 바이블' 책 추천 _ 미국ETF 투자방법의 모든 가르침이 담겨있다!!
'2030 미국ETF 바이블' 책 추천 _ 미국ETF 투자방법의 모든 가르침이 담겨있다!!
▼▼▼▼▼ #2030 미국ETF 바이블 구매하기# 2030 미국ETF 바이블 주식책 high risk high return을 무시하는 투자 : Mubook 2030 미국ETF 바이블 주식책 high risk high return을 무시하는 투자 smartstore.naver..
dividend-story.tistory.com
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를 통해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제가 드디어 책을 출판했습니다!! 뿌뿌뿌뿜~~
제목은 '2030 미국ETF 바이블'로,
2030 세대 분들에게 좀 더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률을 안겨줄 수 있는 미국ETF에 대해 알려드리고자
부족한 실력이지만 이렇게 책을 출판하게 됐습니다.
이벤트 내용이 궁금하신 가요?
아주 간단합니다
그냥 위에 첨부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끝입니다!!
이벤트 참여 방법은 이보다 더 쉬울 수 없습니다!!
또한, 해당 책만 읽어도 충분히 미국ETF 투자를 할 수 있게 작성했으니 꼭 다운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!!
이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:)
▼▼▼▼▼
##2030 미국ETF 바이블 책 구매하기##
2030 미국ETF 바이블 주식책 high risk high return을 무시하는 투자 : 뮤북
2030 미국ETF 바이블 주식책 high risk high return을 무시하는 투자
smartstore.naver.com
미국의 주식 급락
최근 주식시장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는 중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oBFS/btrr3mIuNfw/k48KKkJtHJ8cQEqIheiL0k/img.png)
대표적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 중 나스닥 주가지수를 살펴보면 52주 최고지는 약 16,200 포인트 정도 됐었는데, 현재는 13,590 포인트까지 하락을 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xcin/btrr16M9GWb/blRm9o9NQg8mLyCk9oWwn1/img.png)
우리나라 코스피 지수는 미국보다 더 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작년 약 6~7월까지만 해도 3,200포인트를 넘었던 지수가 현재는 2,600포인트까지 하락한 상태입니다.
이러한 주식시장의 하락 원인 중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'금리인상'의 압박감이 높아져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vYCF/btrr4Q3z0Sb/RWktLcdNjIWVCmxDbnRkA1/img.jpg)
실제로 2021년 8월에 한국은행은 코로나 이후 첫금리 인상을 발표하였으며, 현재는 1.25%의 금리까지 올라왔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aMIQ/btrr3nN9LD4/6wm0FdpugJyr1Axr6it3BK/img.jpg)
미국 또한 2021년 11월부터 그동안 진행해 오던 1,200억 달러 규모의 양적완화를 매달 150억 달러씩 줄이는 테이퍼링 발표를 했으며, 12월에는 이 속도를 두 배로 올려 2022년 3월에 테이퍼링이 끝내도록 한다고 하였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1hQz/btrr1JEA2EL/C5PTLK0rJVRS6vT3Ll5jsk/img.jpg)
그리고 연준의 12월 FOMC 회의록 내용이 1월에 공개되었고, 여기서 연준은 금리인상 보다 한 발 더 나아가 '양적긴축'을 언급하였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7coX/btrr4xJLDnV/oxVtY0tkY88XDR8RDK7RWk/img.jpg)
그로 인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3월이 될 것으로 시장의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바라보고 있습니다.
이러한 악조건 속으로 인해 미국의 주식시장이 현재 큰 폭락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.
이건 일시적인 조정일 뿐이다!
주식시장은 정답이 있는 곳이 아닙니다. 또 수학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곳도 아닙니다.
주식시장은 '심리'가 크게 작용하는 곳입니다.
즉, 투자자들의 심리를 잘 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.
그럼, 이런 심리를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?
저는 크게 3가지 지표를 통해 확인합니다.
1. VIX 지수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dFe2s/btrr16NHZgU/k8QyX7KMQCVdSwfpp3Wr81/img.png)
VIX 지수는 대표적인 공포지수라 부릅니다. VIX 지수는 S&P500 선물 지수를 기초로 하여 향후 30일 지수의 풋옵션 및 콜옵션의 가중 가격으로 정해지는 지수입니다. 쉽게, 투자자들이 향후 미국시장이 좋은지 나쁜지를 가늠하여 투자하는 지표라 보면 됩니다.
최근 25년 동안의 그래프 추이를 보면, VIX 지수가 40포인트 이상으로 올라갈 때 큰 경제위기가 찾아오고는 합니다.
1990년 후반~2000년 초반에 40포인트를 넘겼고 이때는 닷컴버블 및 911테러가 있었습니다.
2008년에는 거의 60포인트까지 오르면서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가 발생했으며
2011년에도 40포인트를 넘기며 유럽재정위기가 왔습니다.
그리고 2020년에는 50포인트를 넘기며 코로나 위기가 왔습니다.
그때그때마다 주가는 크게 하락하고는 했습니다.
하지만 큰 경제위기 외에도 중간중간 조정이 왔습니다.
이러한 조정장에서 보통 VIX 지수는 30포인트에 가깝거나 살짝 넘었습니다.
즉, 30포인트까지는 조정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.
하지만 40포인트에 가까워지거나 넘어선다면 조심해야 할 시기겠지요.
30포인트는 매도시점으로 보기보다는 존버를 하고, 저렴해진 주식을 추가매수할 기회라 생각합니다.
2. 공포&탐욕 지수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bsUy/btrr3mPPBzM/ZFITPDrVyLru7L2JuMuGB0/img.jpg)
위 그래프는 공포&탐욕 지수입니다.
공포&탐욕 지수는 'CNN머니'에서 만들고 사용하고 있는 공포지수입니다.
공포&탐욕 지수는 약 7개의 지표로 구성하여 만든 지수입니다.
1. 시장의 모멘텀 _ S&P500 지수의 125일 이동평균선 이격도
2. 주가 강도 _ 뉴욕증권거래소 52주 신고가와 신저가의 주식수를 기준으로 계산
3. 주가폭 _ 뉴욕증권거래소의 하락 종목 거래량 대비 상승 종목 거래량을 측정한 지표.
4. 풋/콜옵션 _ 5일 동안의 풋/콜옵션 비율
5. 정크본드 수요 _ 투자적격등급과 투기등급 채권과의 수익률 그래프
6. 시장변동성 _ VIX 지수 50일 이동평균선 이격도
7. 안전한 투자처 수요 _ 20일 동안의 국채 대비 주가 수익률의 차이
보통 공포&탐욕 지수가 20 이하로 떨어졌을 때 시장이 크게 위축되고 두려워할 때라고 합니다.
하지만 저는 30~25 이하로 떨어지면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.
위 그래프를 보면 아시겠지만, 현재 공포&탐욕 지수는 약 36정도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5zClr/btrr7pSAeQF/tNKxRLb40kCSKJTIEFlPKk/img.jpg)
3. 부도위험지수 (고수익 채권 수익률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VwR2/btrr3kda50O/J9NIrHlU29xZOxIIPnQoDk/img.jpg)
위 그래프는 부도위험지수로, 정확한 이름은 고수익채권수익률, 즉 투기등급의 채권수익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.
신용이 낮은 회사는 경기가 좋지 않으면 자금을 쉽게 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채권금리를 높여 자금을 구합니다. 즉 투기등급의 채권수익률이 높아지면 높아질 수록 신용이 낮은 회사들이 자금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뜻이고, 경제가 위축되고 있고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해석할 수가 있습니다.
평균 7.5% 이상의 수익률을 보여주면 경제가 많이 안 좋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.
2000년 닷컴버블과 2008년 금융위기, 그리고 2020년 코로나 위기 등 부도위험지수는 7.5%가 넘게 상승을 했습니다.
2012년과 2016년에도 7.5%까지 왔었는데, 당시에는 유럽재정위기와 중국발위기가 있었던 시기였습니다.
현재는 3.5% 부근으로 아주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
세 가지 그래프를 살펴봤을 때 아직은 버블이 터지거나 엄청난 폭락장이 오는 그런 시기는 아니라 생각합니다. 보통 2~3년에 한 번씩 찾아오는 큰 조정장일 뿐 경제위기 급의 폭락장은 아니라 생각합니다.
저는 큰 폭락장이 앞으로 2년 뒤에 올 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.
폭락까지는 2년이 남았다!
주식이 폭락하는 시기가 언제일까요?
바로 채권이 주식보다 수익률이 좋을 때 입니다.
주식은 대표 위험자산이고 채권은 대표 안전자산입니다.
위험자산보다 안전자산의 수익률이 더 좋다면 당연히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하지 않을까요?
이는 아주 기본적인 이치입니다.
그렇다면 현재 주식의 수익률과 채권의 수익률은 어떨까요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aZ3FH/btrr1mjgWvG/NdWkQKgjs3ddSO4r388uXK/img.jpg)
주가지수의 기대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기대수익률=(1 ÷ 12개 월 선행 PER) * 100
현재 S&P500의 PER은 25.27을 보이고 있고, 이를 위 공식에 대입하면 약 4%를 보입니다.
즉, 현재 미국의 주식 기대수익률은 4%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AvL7/btrr7rv7fN7/RBBsqBrPlfEdY3ogCsSKl0/img.jpg)
반대로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약 1.778포인트를 보이고 있습니다. 현재는 주식수익률이 더욱 높기 때문에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될 시기는 아닙니다.
하지만 저는 미국10년물 국채수익률이 약 2년 뒤 쯤이면 4%에 다다를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BNB2/btrr7qjFH16/16BlTO0yoUGHVsuKqCx8K1/img.jpg)
빨간선: 미국2년물 국채금리 / 파란선: 미국10년물 국채금리
위 그래프는 미국 장기채권금리와 딘기채권금리의 차이입니다. 보통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의 금리 차이는 약 2%~2.5%의 차이가 납니다. 물론 가끔은 장단기금리가 역전될 때가 있고 2.5% 이상 차이가 날 때도 있지만, 평균적으로 2~2.5%의 차이를 보입니다.
즉, 단기금리가 2% 정도 올라가면 장기금리개 4%를 넘기 때문에 단기금리가 2%가 되는 시점에 주식시장의 자금이 채권시장으로 이동될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.
그럼 단기금리가 언제 2%가 될까요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6K1h0/btrr1nCt4VE/GzLsFppmA6WKpixmJ2VNQk/img.jpg)
2021년 12월 FOCM에서 미국 연준의원 및 이사들이 향후 미국의 기준금리 방향을 예측하는 점도표가 나왔습니다.
이때 대부분의 연준 인원들은 2024년에는 기준금리를 2% 이상 올려야 된다고 바라보고 있습니다. 다시 말해 2024년에는 기준금리가 2% 이상으로 오를 확률이 높은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1FS1/btrr11Fsl79/LUBNjtGQ11NlqmONw9C9c0/img.jpg)
빨간선: 미국 기준금리 / 파란선: 미국 2년물 국채금리
위 그래프를 보면 미국의 기준금리와 단기금리는 아주 유사하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본래 기준금리는 금융기관들이 거래를 할 때 이용하는 단기금리로 사용됩니다.
그로 인해 단기채권금리와 기준금리는 거의 똑같이 움직일 수밖에 없습니다.
즉!!
미국이 2024년에 기준금리를 올리면 단기금리 또한 그 시점 비슷하게 2%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.
그렇게 되면 10년물 국채금리는 4%가 넘을 수 있게 됩니다.
그럼 그때는 미국 주식수익률보다 채권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주식투자자들이 채권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며 주식시장이 크게 폭락할 수 있으리라 생각을 해봅니다.
물론 그 안에 금리가 더 빠르게 오를 수도 있고, 반대로 경제가 좋아져 주식수익률이 더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.
그때가 돼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.
제가 말하고 싶은 건 아직 주식시장의 자금이 빠질 때도 아니고, 버블이 터지는 시기가 아니란 점입니다.
그러나 제 말이 틀리고 정말 현재가 버블이 터지는 시기일 수도 있습니다. 그건 아무도 모르는 거니깐요,
하지만 아직까지 봤을 때는 그렇게 무서워할 시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. 그냥 저렴해진 주식 조금씩 줍줍해야 될 시기라 생각합니다.
지금은 조정장이다!
위에 소개한 그래프를 보면, 현재의 시기는 버블이 터지는 그런 폭락이 오는 시기는 아니라 생각합니다. 위 지수 외에도 경제지표를 봐도 현재는 경제가 주저앉을 시기는 아닙니다. 경제지표에 대해서는 조만간 포스팅해보겠습니다.
물론 현재 하락도 큰 하락은 맞지요, 하지만 과거 경제위기만큼의 폭락은 아니기 때문에 기존에 들고있던 주식은 계속 가지고 있고 보유하고 있던 현금으로 저렴해진 주식을 매수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
저는 다소 보수적인 투자성향을 갖고있어 개별주식을 매수하고 있지는 않고 지수추종ETF를 매수하고 있습니다.
잠깐 TIP을 드리자면,
현재는 달러-원 환율이 높기 때문에 달러로 환전해 미국상장 지수ETF를 사는 것 보다는 국내에 상장된 해외지수 환헤지 ETF를 사는 게 유리합니다.
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결론은~
현재는 조정장이라 줍줍할 시기이지 매도할 시기는 아니라 생각합니다!
막 저점 노리겠다고 매도하고 다시 사는 그런 신의영역에 다가서지 마시고 그냥 기존에 들고있던 주식은 존버하고 현금으로 저렴해진 주식을 줍줍해보는 건 어떨까요~?
물론 이는 100% 저의 생각이고 정답이 아니란 점, 그리고 매수/매도 추천은 아니란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.
★ 수익률 두 배로 올려주는 비밀이야기!!
★ 국내 환헤지 ETF 이렇게 투자하자!! 미국S&P500선물(H) ETF
국내 환헤지 ETF 이렇게 투자하자!! 미국S&P500선물(H) ETF
들어가는 말 최근 원달러 환율이 무섭게 오르고 있습니다. 세계의 각종 불확실성과 금리인상 등이 겹치면서 달러의 가치가 점차 상승하고 있습니다. 미국의 높은 물가상승률과 함께 점차 고용
dividend-story.tistory.com
★ '장단기 금리차'가 중요한 이유!! 미래를 단 번에 알 수 있는 비밀!!
'장단기 금리차'가 중요한 이유!! 미래를 단 번에 알 수 있는 비밀!!
들어가는 말 우리는 투자를 할 때 미래를 예측하고 싶어 합니다. 누구나 그러겠죠? 미래를 예측할 줄 알아야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으니깐요, 하지만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그 누구도 할 수
dividend-story.tistory.com
★ 2022년 미국ETF 추천 TOP3 !! 올해는 '이것'에 집중해야 된다!!
2022년 미국ETF 추천 TOP3 !! 올해는 '이것'에 집중해야 된다!!
들어가는 말 새해가 새롭게 시작되는 만큼 올해도 성공적인 투자가 될 수 있도록 현재 제가 바라보고 있는 미국ETF 중 전망이 좋다고 생각하는 ETF를 추천해보려 합니다. 종목 추천의 경우는 매우
dividend-story.tistory.com
'금융&경제 지식교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은행 금리 5.7% 적금상품 등장!! 근데, 내가 받는 금리는 마이너스? (1) | 2022.02.14 |
---|---|
예금 적금? 왜 적금 금리가 항상 더 높을까? (feat.은행은 거짓말을 한다) (0) | 2022.02.09 |
'장단기 금리차'가 중요한 이유!! 미래를 단 번에 알 수 있는 비밀!! (6) | 2022.01.16 |
'국내주식 세금/해외주식 및 ETF 세금 2023년 개편안' 이걸로 끝내자!! (3) | 2022.01.03 |
국내 환헤지 ETF 이렇게 투자하자!! 미국S&P500선물(H) ETF (4) | 2021.12.17 |
댓글